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역사/국가유산

  • 우리가 만드는, 우리가 즐기는,
    함께 어우러지는 강동구
  • 강동구의 역사와 문화를 탐방해보세요!

서울암사동유적

서울 암사동 유적 소개

서울 암사동 유적 사진
  • 서울 암사동 유적은 지금으로부터 약 6,000여년전에 우리의 조상인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집터 유적으로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신석기시대의 최대 집단취락지입니다.
    이 유적은 동남쪽의 구릉에 신석기시대 다음 시대인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유적(無文土器遺蹟)과 인접되어 있어 두 시대의 문화가 접촉하는 양상을 알려주며, 또 농경문화 개시를 입증하여 주는 고고학적 자료도 발견되어 한국 선사문화의 추이를 밝히는데 있어 유일하고도 귀중한 유적입니다.
  • 서울 암사동 유적은 1925년 을축년 홍수 때 한강변 모래언덕 지대가 심하게 패어져 수많은 빗살무늬토기 조각이 노출되면서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지임이 밝혀지기 시작하였습니다.
    1967년에는 대학연합발굴단, 1968년에는 서울사대 조사팀, 1971∼1975년에는 국립중앙 박물관, 그리고 1983년에는 서울대 암사동 유적발굴단에 의한 대규모 조사로 수혈주거지군(竪穴住居址群)과 그 부속시설이 확인 되었고, 이후 계속된 발굴조사에 의해 많은 빗살무늬 토기와 석기는 물론 청동기·백제시대의 유물도 출토되었습니다.
    1979년 7월 26일 사적 제 267호로 지정되었으며, 1981∼1988년까지 유적지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총면적 78,133㎡의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확대하였으며 9차에 걸친 복원공사로 신석기 시대 움집이 복원되고 원시생활전시관이 건립되었습니다. 또한 이용 시민들의 불편이 없도록 주차장, 산책로 등 편의시설을 완비하여 '88년 8월부터 개방되고 있습니다.

신석기인의 생활상

신석기인의 생활상 모형 사진
  •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터로써 암사동 유적은 제일 먼저 알려진 곳으로 이 유적의 연대는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법에 의해 기원전 4-3천년 경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신석기시대에는 거의 대부분 땅을 깊이 파고 움집을 견고하게 지어서 살았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석기시대는 완전한 생산경제의 단계가 아니고 일부 수렵, 채집, 어로에 의존하는 경제단계였기 때문에 대형 저장 시설 보다는 대부분 간단한 제작시설을 만들어 사용하였습니다.
  • 암사동 유적은 한강 주변에 위치한 유적으로 고기잡이를 중심으로 한 어로생활이 주 생계수단 이었습니다. 이것은 어망추, 작살 등 어로도구들이 출토되는 것으로 뒷받침되며, 화살촉의 발견으로 인근 야산에서 수렵을 했으리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또 도토리, 갈판, 갈돌의 발견은 신석기인들의 주식량이 도토리였으며 보습, 돌낫 같은 농기구의 출토는 밭농사가 일부 행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움집

움집터 사진
  • 신석기시대 살림집은 동굴을 이용한 경우도 있으나 움집이 일반적입니다. 움집이란 일정한 넓이와 형태를 가진 구덩이를 파 집 바닥을 땅 밑에 두고 구덩이 안은 별도의 벽체 시설 없이 서까래가 바로 땅에 닿게 된 집을 말합니다.
    신석기시대의 움집은 해안가 구릉이나 큰 강변의 대지에 지어졌는데, 직경 4∼6m 크기의 원형이나 모를 죽인 방형의 구덩이를 깊이 50-100㎝정도 판 다음 화덕자리 등의 내부시설을 마련하고 지붕을 덮었습니다.
  • 화덕자리는 돌이나 진흙으로 원형이나 타원 형, 장방형의 테두리를 돌려 집 중앙에 설치하였는데 보온과 취사에 이용되었습니다. 바닥은 아무런 시설이 없거나 또는 진흙을 깔아 다진 것이 있는데 그 위에 풀이나 짐승가죽 등을 깔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붕은 움구덩이 주위에 서까래를 걸치고 한 쪽 끝을 움중앙에 모이게 묶어 골격을 형성하였는데 서까래 아래 사이에 잔나무 가지나 갈대, 억새 등의 풀을 이어 덮었습니다. 움집의 규모로 작은 움집은 2∼3명, 큰 움집은 5∼6명이 생활하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출토유물

빗살무늬토기 사진
  • 집터에서 드러난 유물중 토기는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가장 특징적인 빗살무늬 토기입니다. 이 토기는 바탕 흙이 사질토에 운모가루 또는 석면과 활석이 섞여 있으며, 흙테를 하나씩 따로 빚어 차례로 쌓아올린 수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릇 모양은 곧은 입술모양에 뾰족밑 또는 둥근밑이고 반 달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빛깔은 부드러운 갈색이나, 문살무늬, 생선뼈무늬 등 여러 유형이 있으며 무늬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러한 빗살무늬토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고 있으며 지역별로 크게 동북, 서북, 중서부, 남부지방의 4개 문화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중서부 지방은 뾰족밑 토기가, 동북지방은 납작밑 토기가, 남부지방은 둥근밑 토기가 주류를 이루며 뾰족밑 토기는 계란의 윗부분을 옆으로 잘라 버린 것 같은 모양을 보입니다. 암사동 집터유적지에는 여러 가지 석기가 드러났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돌화살촉 · 돌도끼 · 공이 · 긁개 · 갈판과 갈돌 등 이며 이러한 유물은 들짐승의 사냥과 가죽을 벗기는 데 쓰였다고 보여지며, 공이는 들짐승의 뼈나 열매 같은 것을 부수는데 그리고 갈판과 갈돌은 도토리알과 같은 열매를 갈아서 가루를 내는데 쓰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 ※ 자료발췌 : 강동구지 (江東區誌, 2002)
페이지 내용에 만족하셨습니까?
이 의견은 만족도 확인에만 사용됩니다.
관리부서 : 문화예술과 선사유적박물관팀 TEL : 02-3425-6520 수정일 : 2024-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