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지나 주택가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하여 자생적으로 살아가는 길고양이들의 개체 수 증가로 인해 음식물쓰레기 봉투 뜯기, 발정기 소음 등의 구민 불편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위한 길고양이 중성화(TNR) 사업과 길고양이 공공급식소 사업을 추진하여 단기적으로는 길고양이로 인한 주민 불편 감소와 장기적으로는 길고양이의 번식력을 낮춰 개체수 조절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길고양이는 도심지나 주택가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하며 자생적으로 살아가는 고양이를 말하며,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14조(구조·보호조치 제외 동물)에 해당됩니다.
- 길고양이는 구조·보호조치 동물에 해당하지 않기에 구조를 진행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며, 자생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구조하고 있습니다.
※구조대상 길고양이: 교통사고로 인한 후지마비, 어미가 없는 2주령 미만의 젖먹이 새끼고양이 등
- 길고양이는 동물보호 대상에 해당하며, 길고양이 학대는 범죄입니다.
길고양이 관련 사업 추진배경
- 「고양이 중성화사업 실시요령」(농림축산식품부고시 제2021-88호, '21.11.30)
- 길고양이 개체 수 증가로 인한 발정기 소음, 먹이부족으로 인한 쓰레기봉투 뜯기로 주민 갈등 발생 및 불편 증가
사업(정책)내용
- 추진목적: 인도적인 방식을 통한 길고양이 개체수 조절 및 주민 불편 해소
- 추진기간
- 길고양이 TNR 사업: 2025년 연중(혹한기 및 혹서기 제외)
- 길고양이 급식소 운영: 매년 격월(연6회)
- 위 치: 강동구 관내
- 사 업 비: 총 154백만원 (TNR 116백만원, 급식소 38백만원)
- 세부 추진내용
- 중성화(TNR) 사업내용: 길고양이 중성화(TNR)를 통한 인도적 개체수 조절
민원접수포획
(Trap)중성화수술
(Neuter)치료 및 예방 접종방사
(Return) - 길고양이 급식소 사업내용: 자원봉사 관리자를 통해 격월(연6회) 사료 배부
- 중성화(TNR) 사업내용: 길고양이 중성화(TNR)를 통한 인도적 개체수 조절
추진성과 및 효과
- 길고양이 중성화사업 추진결과
- 서울시 길고양이 개체수 2015년 20만 마리에서 2023년 10만 마리로 감소
※‘2023 서울시 길고양이 서식 현황 모니터링 조사’
- 서울시 길고양이 개체수 2015년 20만 마리에서 2023년 10만 마리로 감소
길고양이 공공급식소 현황: 59개
관공서 | 주민센터 | 공원 | 기타 |
---|---|---|---|
18개 | 18개 | 11개 | 12개 |
향후계획
- 인도적인 방식으로 공존을 모색하며 단기적으로는 길고양이로 인한 주민 불편 감소와 장기적으로는 길고양이의 번식력을 낮춰 개체수 조절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타 정보
- 문의처: 강동구청 지역경제과(☎02-3425-6016)
- 관련 홈페이지: 강동구청 길고양이 중성화수술 신고 바로가기
- 안내사항
- 몸무게 2kg 미만이거나 수태(受胎) 또는 포유(哺乳)가 확인된 개체는 중성화(TNR) 불가
담당부서동물복지팀
문의02-3425-6010
최종수정일 2025-05-23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